여름, 뜨거운 더위와 따가운 햇볕 때문에 양산을 쓰고 다니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양산은 자외선을 차단하고 햇볕을 막아 온도를 낮추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요. 색깔과 소재에 따라 자외선 차단율과 온도가 차이가 난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색깔, 소재, 자외선 차단율, 방수까지 고려한 양산 고르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양산 고르는 법 - 목차
- 양산 색깔
- 양산 소재
- 양산 자외선 차단율
- 양산 대신 우산을 써도 될까? (비가 올 때 양산을 써도 될까?)
양산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한 부분들을 고려해 목차는 4개로 정리했습니다.
양산 색깔
양산의 색깔은 양산을 고를 때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겉 부분은 흰색에 가까운 밝은 색, 속 부분은 검은색에 가까운 어두운 색이 자외선 차단과 온도를 고려했을 때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흰색은 빛과 열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검은색은 빛과 열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요. 때문에 겉 부분은 밝은 색으로 선택해 뜨거운 태양빛을 반사시키고, 속 부분은 어두운 색으로 선택해 지면에서 반사되는 열을 흡수시키도록 하는 것입니다.
상황의 여의치 않다면 겉 부분과 속 부분 모두 어두운 색으로 선택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속 부분이 밝은 색이라면 지열을 반사시켜 피부가 탈 수 있고, 어두운 색보다 온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더울 수 있기에 꼭 피하시는 걸 권하고 싶습니다.
양산을 살 때 겉 부분의 색깔만 확인하지 마시고, 속 부분의 색깔도 확인하는 걸 잊지 마세요! 대부분의 제품은 상세페이지에 전체 사진이 없더라도 속 부분 컬러 표시가 따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양산 소재
양산의 소재는 폴리에스테르, 면, 레이스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스나 주름이 많은 소재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서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른 소재보다 떨어집니다. 그렇기에 폴리에스테르와 면 소재가 무난하게 사용하기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외선 차단은 두꺼울수록 효과가 더 높아지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무조건 비침이 없는 소재에 두꺼운 양산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양산 자외선 차단율
국가 기술 표준원이 정해둔 표준 양산 기준이 있습니다. 85% 이상 자외선을 차단해야 하는 것인데요. 법적으로 자외선 차단율을 제품에 표시하도록 규정되어 있어서 구매 전 이 부분을 확인하시는 게 좋습니다.
또 양산을 살 땐 자외선 차단 UV코팅도 중요합니다. 자외선 차단 UV코팅이 되어 있어야 95% 이상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으니 이 부분도 함께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양산 대신 우산을 써도 될까? (비가 올 때 양산을 써도 될까?)
우산은 아예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하는 건 아니지만, 양산과 달리 따로 자외선 차단 규정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자외선 차단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효과를 보장할 수 없는데요. 하지만 야외 활동용으로 만들어진 우산이라면(ex.골프 우산) 자외선 차단 90% 이상이 보장되기에 양산 대신 사용하셔도 문제없습니다.
그럼 반대로 비가 올 때 양산을 사용해도 될까요? 양산이 비에 젖게 되면 자외선 차단 코팅이 손상되기에 우산으로 쓰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방수가 되는 양우산이라면 비가 올 때 사용해도 됩니다. 오히려 양산은 자외선 차단 85% 이상이 규정으로 되어 있는데, 양우산은 90% 이상이 규정이라 자외선 차단율도 더 높습니다.
정리해 보자면 양산의 색깔은 겉 부분 밝은 색, 속 부분 어두운 색! 소재는 폴리에스테스나 면! (두꺼울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 좋음) 일반 양산보다는 방수까지 되는 우양산! 그리고 공통적으로는 자외선 차단율과 자외선 차단 UV코팅이 되어 있는지 꼼꼼하게 확인까지 해준다면!
자외선 차단이 잘 되면서 시원하고, 갑자기 내린 비까지 막아주는 나만의 양우산을 성공적으로 구매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렇게 양산 고르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양산으로 따가운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지키고 무더운 여름도 한층 시원하게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유용한 정보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탭 고르는 법과 사용기한, 고용량도 안전하게 (0) | 2024.03.13 |
---|---|
양파 껍질 어디까지 까야할까? 영양소 지키는 손질 방법 (0) | 2023.09.28 |
스텐 연마제 제거 한 번에 끝내는 초간단 방법 (0) | 2023.06.29 |
만 나이 계산법 쉽게 이해하기 (계산기 포함) (2) | 2023.01.05 |
2023년 달라지는 것 10가지 핵심 요약 정리 (0) | 2022.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