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IT

LD플레이어 설치 후 채굴 방지 설정 (컴퓨터로 모바일 앱 사용하기)

by 낌꼼꼼 2022. 5. 18.

컴퓨터로 모바일 앱을 사용하고 싶다면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하다고 느꼈습니다. 대표적으로 녹스 앱 플레이어, 블루스택, LD플레이어. 이 3가지가 가장 대중적이고 인지도가 높습니다. 저는 3가지 모두 사용해보았는데요. 직접 써보니 LD플레이어가 가장 오류가 덜하고 가벼워서, 저에게 가장 잘 맞았습니다.

 

중요한 건 어떤 모바일 앱을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프로그램 별로 호환성이 차이나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LD플레이어가 잘 맞지 않는다면 다른 프로그램인 녹스 앱 플레이어나, 블루스택을 설치해서 사용해보고 비교하시면 되겠습니다.

 

LD플레이어는 채굴 때문에 과거 논란이 꽤 많았습니다. 하지만 LD플레이어 측에서 사용자들의 불만을 인지하고 패치를 진행하기도 했고, 채굴 방지 설정도 따로 할 수 있기에 현재는 큰 불만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D플레이어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해, 설치 후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채굴 방지 설정을 하는 과정까지 세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D플레이어 설치 후 채굴 방지 설정 (컴퓨터로 모바일 앱 사용하기)

  • LD플레이어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후 설치.
  • 설치된 LD플레이어 아이콘 우클릭 > 속성 > 파일 위치 열기 > adb.exe 파일 삭제하기.
  • 폴더의 빈 공간에 우클릭 후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 생성 > 파일 이름 abd.exe로 바꾸기.
  • 새로 만든 파일 우클릭 > 속성 > 보안 > 편집 > 모든 권한 거부 체크 > 적용 후 확인 누르기.
  • LD플레이어 실행 후 시스템 앱 > 설정 > 보안 >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 허용 해제하기.
  • LD플레이어 우측 사이드바 설정(톱니바퀴 모양) > 기타 > Root 권한, ADB 디버깅 비활성화로 되어 있는지 확인.

위에 링크한 LD플레이어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무료로 다운로드 설치가 가능합니다. 설치 시간은 5분도 걸리지 않습니다.

 

설치 후에는 본격적으로 사용을 시작하기 전에, 채굴 방지 설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LD플레이어 측에서 채굴 논란을 인지하고, 최신 버전에서는 관련 업데이트를 진행한 상태이긴 합니다. 이전에는 무조건 adb가 같이 실행되었지만, 현재는 옵션으로 adb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언제나 혹시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어서, 추가로 채굴 방지 설정을 해주었습니다. 기본적으로 LD플레이어에서 채굴 관련 패치는 완료된 상태이니, 설정하기가 귀찮으시다면 굳이 설정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LD플레이어-설치-후-구글플레이스토어-실행-화면
구글플레이-로그인-필수

 

LD플레이어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렇기에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원하는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데요. 구글 플레이 스토어 이용을 위해서는 구글 로그인이 필수입니다.

 

스마트폰에서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연동되어 있는 구글 아이디,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하면 스마트폰에 본인이 맞는지 확인 알림이 뜹니다. 본인이 맞다고 확인을 하면 LD플레이어에서 구글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LD플레이어-채굴방지-adb파일-삭제하는-모습
adb.exe파일삭제

 

구글 로그인만 완료해두고, LD플레이어 채굴 방지 설정을 진행해보았습니다. 먼저 1번째 방법입니다.

 

LD플레이어를 설치했다면 바탕화면에 LD플레이어 실행 아이콘이 생기셨을 겁니다. LD플레이어 실행 아이콘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속성을 선택한 뒤 2번째에 있는 파일 위치 열기를 선택해주세요. 그럼 다운로드 위치를 일일이 찾을 필요 없이, 바로 LD플레이어가 설치된 파일 위치가 새 창으로 뜹니다.

 

LD플레이어가 설치된 파일 위치를 찾으셨다면 adb.exe 파일을 찾아 삭제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파일 이름이 그냥 adb로 보이는 분들은 파일 확장명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니, 당황하지 마시고 폴더 상단에 있는 보기를 누르고 우측에 있는 파일 확장명에 체크를 하시면 됩니다.

 

만약 adb.exe 파일이 삭제되지 않는다면 실행 중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Ctrl+Alt+Delete (컨트롤+알트+딜리트)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한 뒤, adb 프로그램을 찾아 강제 종료를 해주면 됩니다.

 

 

우클릭-새로만들기-텍스트문서-생성-후-설정하는모습
텍스트문서-새로-만든-후-설정

 

adb.exe 파일을 정상적으로 삭제했다면 폴더의 빈 공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새로 만들기를 누른 뒤 텍스트 문서 만들기를 선택해줍니다.

 

텍스트 문서가 만들어졌다면 텍스트 문서 파일의 이름을 adb.exe로 바꿔줍니다.

 

adb.exe로 이름을 바꾼 파일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상단 카테고리에 있는 보안에 들어가 편집을 선택합니다. 모든 권한 거부에 체크를 한 후, 적용을 먼저 누르고 확인을 누르면 완료입니다.

 

 

LD플레이어-시스템앱-설정-보안-알수없는소스-비허용하는-모습
알수없는소스-체크해제

 

2번째 방법은, LD플레이어 앱 자체에서 채굴 방지 설정을 하는 방법입니다.

 

LD플레이어를 실행한 뒤 메인 화면에 보이는 시스템 앱에서 설정을 눌러 들어가 줍니다.

 

스크롤을 내려 보안을 선택한 뒤, 알 수 없는 소스 체크되어 있는 걸 해제해줍니다. 이 설정을 하면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가 비허용 되는데요. 정상적인 대부분의 모바일 앱은 출처가 명확하기에 이용하는 데에 큰 불편함은 없으실 겁니다.

 

덧붙여 LD플레이어에서는 해킹 방지를 위해 출처가 불분명한 모바일 앱을 설치하는 걸 추천하지 않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LD플레이어-설정-기타-Root권한-ADB디버깅-확인하는모습
Root권한-ADB디버깅-비활성화-확인

 

추가로 간단한 확인만 해주면 LD플레이어 채굴 방지 설정은 끝이 납니다.

 

LD플레이어 우측 사이드바 첫 번째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눌러줍니다. (시스템 앱 설정과는 다릅니다.) 설정 카테고리 제일 하단에 있는 기타를 선택합니다.

 

Root 권한과 ADB 디버깅이 모두 비활성화로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줍니다. LD플레이어에서 채굴 관련 패치를 한 후, 기본적으로 둘 다 비활성화 상태로 되어 있으실 겁니다.

 

 

모바일앱-콰트-설치-후-실행해본-모습
콰트-설치실행-테스트

 

LD플레이어 채굴 방지 설정을 모두 마쳤다면 안심하고 LD플레이어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게임도 원활하게 잘 실행되지만, 저는 다른 모바일 앱도 궁금해서 운동 영상 어플인 콰트를 설치 후 실행해보았습니다. 콰트는 원래 모바일만 지원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모니터로 보고 싶다면 HDMI 선을 구매해 연결하라고 공식적으로 안내되고 있는데요. 작은 핸드폰 화면으로 운동 영상을 보기가 너무 불편하고, 집에 HDMI 선도 없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LD플레이어로 실행해보니 정상적으로 잘 실행됩니다. 컴퓨터의 큰 화면으로 쾌적하게 운동 영상을 볼 수 있어서 아주 만족하고 있습니다. (콰트 홍보 아님)

 

모바일 게임 외에, 다른 모바일 앱을 컴퓨터로 사용하고 싶은 분들에게 제 경험이 참고가 될까 싶어 적어봅니다.

 

컴퓨터로 모바일 앱 사용을 하기 위해 LD플레이어를 설치했다면 채굴 방지 설정을 거친 후,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사용해보시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