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전국 대상으로 진행하는, 2022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한창 진행되고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2022년 8월 5일까지 신청이 가능한데요. 3년 동안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10만 원을 더 저축해주니, 신청조건에 해당하는 청년이라면 꼭 신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복지로 총정리 - 목차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조건
-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과 필요서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신청조건, 자세한 혜택, 신청방법, 필요서류까지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조건
먼저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대상, 신청조건입니다. 연령, 소득기준, 가구소득, 가구재산까지 4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지원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차상위 이하인지, 차상위 초과인지에 따라서도 지원대상이 달라지는데요, 평범한 가정이라면 대부분 차상위 초과에 해당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차상위 이하라면 만 15세 이상~만 39세 이하여야 하며, 가구 기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여야 합니다. 소득기준은 근로 혹은 사업소득이 발생하기만 하면 됩니다. (월 50만 원 이하도 상관없음)
차상위 초과라면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여야 하며, 가구 기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여야 합니다. 소득기준은 월 50만 원 초과~월 200만 원 이하입니다.
가구재산은 공통적으로 대도시 3.5억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7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나,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등 유사한 자산형성지원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혜택을 받았던 가구는 중복 참여가 불가능하다는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목적이 다른 사업이라면 중복 참여가 가능하니, 정확한 중복 참여 여부는 문의를 통해 확인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청년내일저축계좌의 혜택 또한 차상위 이하인지 차상위 초과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만, 공통적으로 월 10만 원 이상 본인 저축은 필수입니다. 최대 50만 원까지 만 원 단위로 자유적립식 저축이 가능합니다.
차상위 이하는 월 10만 원 이상 저축 시 30만 원의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차상위 초과는 월 10만 원 이상 저축 시, 10만 원의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뒤 정부 지원금까지 전액 지급받기 위해서는, 3년 간 통장을 유지해야 합니다. 근로 활동 또한 3년 간 지속해야 하며, 추가로 10시간의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자금사용계획서 제출도 필수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과 필요서류
신청방법은 온라인, 오프라인 2가지가 있습니다. 반드시 청년 본인이 신청해야 하며, 대리 신청은 불가능하다는 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통장 개설도 동일) 현재 5부제 신청 기간은 마감되었고 2022년 8월 1일부터 8월 5일까지 자율 신청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 로그인 후, 서비스 신청 카테고리에서 청년내일저축계좌 선택 후 신청하기를 눌러 진행하시면 됩니다. 중간에 임시 저장도 가능하기 때문에 신청 과정 중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임시 저장 후, 자료를 준비해 이어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로 진행됩니다. 안내되어 있는 구비서류를 준비해 제출하면 됩니다. 상시근로자라면 재직증명서, 일용근로자라면 고용임금 확인서 등, 근로 형태에 따라 요구되는 서류가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필요서류는 대상자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들입니다. 근로 형태에 따른 소득증빙서류는 필수로 제출해야 하며, 법정 한부모나 북한이탈주민 등 특이 사례에 해당하는 가구라면 관련 추가 서류를 포함해 제출하시면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복지로 청년내일저축계좌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유용한 정보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생활지원금 온라인 신청조건과 방법 (22.7.11 이후) (0) | 2022.09.30 |
---|---|
국민건강보험 자동이체 신청하는 방법 (카드, 계좌) (0) | 2022.09.27 |
KB기프트카드 총정리 (사용방법, 온라인, 잔액조회, 환불, 소득공제) (0) | 2022.07.26 |
2022 대전 청년희망통장 신청방법과 조건 알아보기 (0) | 2022.07.02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최소 600만 원) 신청하는 방법 (0) | 2022.05.31 |
댓글